리브레 오피스는 예전 오픈오피스로 불리우던 오픈소스 오피스 프로그램입니다. 리브레 오피스는 윈도우즈, 맥OS X, 리눅스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오피스 프로그램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LibreOffice Writer: 워드프로세서
LibreOffice Calc: 스프레드시트
LibreOffice Impress: 프리젠테이션
LibreOffice Draw: 벡터 이미지 프로그램
LibreOffice Math: 수학 수식 표현
LibreOffice Base: 데이터베이스

흔히들 오픈소스 프로그램이라면 ‘공짜’를 먼저 떠올리시겠지만 오픈소스의 진정한 장점은 말 그대로 프로그램 소스가 오픈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누구나 개발에 참여할 수 있고 프로그램을 개조(?)할 수 있습니다. 공짜는 부수적인 잇점이지만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에겐 가장 먼저 와 닿는 것이 공짜라는 것이지요. 그렇지만 오픈소스가 공짜라고 해서 공짜가 다 오픈소스는 아닙니다. 소위 말하는 프리웨어(혹은 프리웨어를 빙자한 광고보는 조건부 프리웨어들)는 오픈소스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들은 그저 가격이 0일 뿐입니다. 그리고 보통은 개인 사용에 한정되어 0원에 팔리는 것이 많으므로 회사나 단체에서 사용시엔 비용을 지불하고 프로그램을 구입해야 합니다.

자, 그럼 제일 먼저 할 일은 리브레 오피스를 다운받아서 설치하는 일이지요. 리브레오피스는 공식 홈페이지 ( http://www.libreoffice.org ) 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혹은 공식 한국어 사이트인 https://ko.libreoffice.org 에서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통은 자신의 OS에 맞춰 다운로드 링크를 연결해줍니다. 리눅스는 많은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이 되어집니다만, 가벼움을 추구하는 리눅스 배포판의 경우엔 빠져있기도 합니다. 그런 경우엔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우분투 리눅스라면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검색해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쉽고 편리한 방법입니다.

Screenshot (2)

다운받은 설치파일을 더블클릭해서 엽니다.

002

설치 마법사가 시작됩니다. ‘다음’을 누르세요.

003

일반 설치를 선택합니다.

004

설치를 클릭합니다.

그럼 설치 진행하는 바가 휙휙 지나갑니다.

 

005
마침을 누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이처럼 설치는 매우 쉽습니다. 이제 리브레오피스를 실행하여 봅시다.

LibreOffice_012

첫번째 뜨는 화면은 최근에 작업한 리브레오피스 문서들을 보여줍니다. 좌측으로 신규 문서들을 생성할 수 있는 버튼들이 보입니다.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워드프레스, 스프레드쉬트, 프리젠테이션, 벡터 이미지 제작, 수확 수식 표현, 데이타베이스 문서를 생성하는 버튼들입니다.

워드프로세스인 Writer 문서를 생성합시다.

Untitled 1 - LibreOffice Writer_013

Writer 창이 열립니다. 먼저 필수적인 메뉴 서너가지만 짚어보겠습니다.

File 메뉴.

Menu_014
New는 신규 도큐멘트를 만드는 메뉴입니다. 서브 메뉴로 구체적으로 어떤 도큐멘트를 만들지 정할 수 있습니다.

Open_016

Open은 열기 명령어입니다. 리브레 오피스에서 열 수 있는 문서파일을 불러옵니다. 리브레 오피스에서 사용하는 기본 파일 포멧은 ODF이지만, Open 명령어 창의 File Type에서 볼 수 있듯이 꽤나 다양한 확장자의 문서를 읽어들일 수 있습니다.

Menu_018

Save는 ‘저장하기’ 입니다. Save as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입니다. 둘의 차이는 save는 처음 지정해준 파일 이름으로 처음 지정된 장소에 계속적으로 판올림되듯 저장이 된다면 save as는 현 문서를 놔두고 새로운 이름으로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똑같은 복사본 파일을 이름만 바꿔 저장할 수도 있고 똑같은 파일의 똑같은 이름을 가진 파일을 다른 장소에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내용과 이름을 수정해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Edit 메뉴.

Menu_019

Undo는 ‘취소하기’ 입니다. 방금 실행한 명령어를 취소합니다. Redo는 ‘취소를 취소하기’ 입니다. 실행했던 명령을 취소했다가 다시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Cut은 ‘자르기’, Copy는 ‘복사하기’, 선택한 영역을 자르거나 복사합니다. Paste는 자르거나 복사한 내용을 커서가 위치한 곳에 ‘붙이기’ 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메뉴를 보았으니 다음엔 직접 문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댓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