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에서 사용되는 기본 명령어를 정리해봅니다.

파일 관리 관련 (참고 : 모든 명령어에는 –help 라는 옵션을 통해서 도움말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ls : 지정된 디렉토리 안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 입니다. 

설명

  • ls : .과 ..과 숨겨진 파일들(파일명 앞에 .이 붙음)을 제외하고 파일명들을 보여줍니다.
  • ls -l : ls명령어와 같으나 파일을 리스트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 ls -a : 모든 파일들을 보여줍니다.
  • ls -A : .과 ..을 제외한 모든 파일을 보여줍니다.
  • ls -al : 모든 파일을 리스트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 ls -r : 정렬 순서를 역순으로 바꿔서 보여줍니다
  • ls -S : 파일의 크기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보여줍니다.
  • ls -t : 파일을 수정된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보여줍니다.

참고로 리눅스 파일 리스트에서 .은 현재 디렉토리를  ..은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를 뜻합니다.

 

사용 예

CD :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 입니다.

설명

  • cd [경로] : 지정한 경로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cd /home/mem1이면 home 디렉토리 아래 mem1 디렉토리 안으로 이동합니다.
  • cd      : 내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cd ~와 동일합니다.
  • cd ~계정명 : 입력한 계정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cd – : 이전 경로로 이동합니다.

 

사용 예

comforch@study: 다음에 나오는 파란 글씨가 현재 내 위치입니다. 위치가 어떻게 바뀌는지 잘 살펴보세요.

 

mkdir :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

설명

  • mkdir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 mkdir -p : 상위 디렉토리를 함께 만듭니다.
  • mkdir -v : 디렉토리를 만들고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사용 예

mkdir 명령어로 디렉토리를 만들고 ls 명령어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디렉토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wd : 현재 내가 작업 중인 경로를 보여줍니다.

 

사용 예

 

rm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설명

  • rm -i : 삭제하기 전에 물어봅니다.
  • rm -f : 강제로 디렉토리나 파일을 삭제합니다.
  • rm -r : 하위 디렉토리까지 모두 삭제합니다. (디렉토리를 삭제할 시에 꼭 필요한 옵션입니다.)
  • rm -d : 빈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rmdir 명령어와 같습니다.)
  • rm -v : 지운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사용 예

 

cp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복사 명령어 입니다.

설명

  • cp [원본 파일 경로] [복사할 파일 경로] : 원본 파일을 복사할 파일 경로로 복사합니다.
  • cp -i : 복사 대상이 이미 존재하면 물어봅니다.
  • cp -r :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을 모두 복사합니다.
  • cp -v : 메시지를 출력합니다.

 

사용 예

mv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 또는 이름을 바꿔줍니다.

설명

  • mv [원본 파일] [이동할 경로 또는 바꿔줄 이름] : 원본과 대상의 이름이 다르면 이름이 변경됩니다. 여러 파일은 이동 모드로만 동작합니다.
  • mv -b : 대상 파일이 존재하면 백업 파일 생성
  • mv -f : 질문 없이 강제로 파일을 덮어 씁니다.
  • mv -i :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물어봅니다.
  • mv -n : 덮어쓰지 않습니다.
  • mv -u : 파일이 업데이트 된 경우에만 이동합니다.
  • mv -v : 메시지를 보여줍니다.

 

사용 예

파일명 끝에 ~가 붙으면 백업파일 입니다.

 

du : 현재 디렉토리나 지정한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줍니다.

설명

  • du : 현재 디렉토리나 지정된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보여줍니다.
  • du -b(또는 -k) : 바이트 단위로 보여줍니다. (또는 kb 단위로 보여줍니다.)
  • du -h : 사람이 보기 편하게 보여줍니다.
  • du -a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보여줍니다.
  • du -s :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간단하게 요약해서 보여줍니다.

 

사용 예

 

df : 하드디스크의 남은 공간을 보여줍니다.

설명

  • df : 기본값은 1024 바이트 단위이다.
  • df -h : 사람이 보기 편하게 보여줍니다.
  • df –total : 총계를 보여줍니다.

 

사용 예

 

 

이상 간단하게 파일 관리와 관련된 우분투 리눅스의 명령어를 살펴보았습니다.

 

댓글 남기기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